안녕하세요.
오늘은 일부 한글패치 적용 방법을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
패치 적용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.
제가 주로 패치를 배포할 때 적용 방법을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많이 쓰는데요.

이게 어떻게 사용되는지 잘 모르는 분들도 계셔서 최대한 자세하게 써보겠습니다.

우선 본인이 스팀을 설치한 드라이버에 들어가신 후 위에 주소창을 클릭하세요.

한번 더 클릭하면 파란색 상자가 사라집니다.

그 다음 본인 운영체제 아키텍처에 맞춰 적용 방법에 있는 경로를 복사해서 붙여넣으세요.
(잘 모르겠다면 두 개 다 써보세요.)

그럼 이렇게 게임이 설치된 폴더로 이동하게 됩니다.
하지만 애초에 어느 하드에 스팀이 설치된건지 잘 모르는 분들의 경우
이 방법 말고도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.

스팀 라이브러리에 있는 게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
'관리->로컬 파일 탐색'을 누르면 게임이 설치된 폴더로 바로 이동합니다.

그 다음 압축파일에 든 폴더를 드래그해서 덮어씌우면 패치가 적용됩니다.
※혹시나 이 방법으로 했는데도 적용이 안된 분들의 경우
압축파일 안 패치 폴더를 뒤져보면 "resource" 폴더가 있는데,
여기서 메모장으로 된 파일들 중 뒤에 _koreana로 된 파일을 전부 _korean으로 바꿔주세요.
지금은 현재 어지간한 패치들의 경우 korean 파일도 추가를 했지만
아직 추가하지 못한 일부 패치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.
'기타 등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스엔진 게임 한글패치 제작 방법 (7) | 2016.08.27 |
---|---|
언리얼 엔진 3로 제작된 게임에 한글 폰트를 만들어 추가하는 방법 (0) | 2016.08.24 |